특허명 | 유전자 PNRC2를 이용한 NMD 조절 방법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08년 5월 8일 |
공개일 | 2009년 11월 12일 | 공고일 | 2011년 3월 14일 |
요약 |
본 발명은 넌센스-매개 mRNA 깨짐 (Nonsense-mediated mRNA Decay, 이하 'NMD'라고 함)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 PNRC2 및 이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NMD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NMD의 분자생물학적인 이해와 인위적인 NMD 효율 조절 기술을 통해서, NMD 관련 유전병 및 암의 치료제 또는 억제제를 개발할 수 있다. NMD, PNRC2, Upf1, Dcp1a
|
특허명 | 출원일 | ||
---|---|---|---|
유전자 도입 없이 직접적 역분화를 통해 체세포로부터 신경상피세포 및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 2012년 1월 20일 | ||
TRPV3 활성 억제를 이용한, 통증 억제용 조성물, 통증 억제 방법 및 통증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 | 2011년 1월 3일 | ||
HDAC1 및 AcH3K14 또는 AcH3K27를 바이오마커로 이용한 NANOG 매개 복합내성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 2016년 4월 8일 | ||
소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능성 줄기세포의 염색체 안정성 유지용 조성물 | 2014년 7월 21일 | ||
TRPA1 활성 억제 약물 및 이의 활용 | 2008년 11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