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더덕에서 유래한 란세마사이드 A의 추출 방법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7년 12월 14일 |
공개일 | 2018년 6월 25일 | 공고일 | 2019년 9월 25일 |
요약 |
본 발명은 더덕 분말을 가열 환류 조건에서 알코올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알코올 추출액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시켜 고형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고형 추출물의 수용액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유기 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남은 수층을 알코올로 추출하여 알코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은 추출액을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덕으로부터 란세마사이드 A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 방법은 단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란세마사이드 A를 추출 및 정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은 란세마사이드 A를 이용하는 식품 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조제 분유의 제조 방법 | 2017년 12월 15일 | ||
해조류 유래 아가로트리오스의 제조방법 및 프리바이오틱로서의 용도 | 2017년 11월 16일 | ||
세포외 다당질의 생산 방법 | 2008년 12월 30일 | ||
플라보놀 합성 유전자 및 이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식물 | 2015년 7월 23일 | ||
들깻잎으로부터 γ―GCS의 활성을 증가시키는카페인산을 제조하는 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카페인산, 및상기 카페인산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 2008년 3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