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돼지 및 인간 조직혈액응고 억제인자 융합 이뮤노글로불린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7년 6월 27일 |
공개일 | 2019년 1월 4일 | 공고일 | 2019년 1월 16일 |
요약 |
본 발명은 돼지 및 인간 유래 조직혈액응고 억제인자와 인간의 이뮤노글로불린을 융합하여 제조된 새로운 재조합 단백질인 돼지 및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이뮤노글로불린을 코딩하는 유전자,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이뮤노글로불린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돼지 및 인간 유래 조직혈액응고 억제인자와 인간의 이뮤노글로불린을 융합한 새로운 재조합 단백질인 융합 이뮤노글로불린은 인간의 혈청 조건에서 돼지 유래 조직인자의 활성저해효과를 나타내어 혈액 응고 반응의 결과물인 트롬빈의 합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융합 이뮤노글로불린을 이용하여 이종장기 이식 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혈액매개성 염증반응 및 미세혈관의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장기이식 거부반응의 면역억제제 또는 장기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
특허명 | 출원일 | ||
---|---|---|---|
돼지 CD7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CD7 융합 이뮤노글로불린 | 2013년 10월 16일 | ||
돼지 서코바이러스 제2형의 ORF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 2018년 5월 28일 | ||
천식 및 비염 질환의 치료효과를 갖는 MDC 유전자의 siRNA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2012년 1월 31일 | ||
플라보놀 합성 유전자 및 이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식물 | 2015년 7월 23일 | ||
AT1G70000을 포함하는 식물체의 안토시아닌 합성 증가 유도용 조성물 및 그의 이용 | 2015년 1월 2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