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제8 혈액응고 인자와 폰 빌리 블란트 인자 변이체의 재조합 발현 벡터 시스템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0년 4월 27일 |
공개일 | 2010년 6월 4일 | 공고일 | 2010년 7월 9일 |
요약 |
본 발명은 제8혈액응고인자와 von Willebrand factor 변이체의 발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엑손을 결실하여 사이즈를 크게 줄이고도 제8혈액응고인자의 안정화 및 활성화 효율을 현저히 높인 돌연변이 von Willebrand factor와 이를 혈우병 치료에 유용한 제8혈액응고인자와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즈를 줄인 돌연변이 von Willebrand factor를 이용함으로써 바이러스 벡터에서 제8혈액응고인자와 함께 효율적으로 발현시키고 제8혈액응고인자의 활성을 현저히 높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바이러스 벡터는 혈우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요법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제8 혈액응고 인자와 폰 빌리 블란트 인자 변이체의 재조합 발현 벡터 시스템 | 2010년 4월 27일 | ||
제8 혈액응고 인자와 폰 빌리 블란트 인자 변이체의 재조합발현 벡터 시스템 | 2008년 2월 29일 | ||
H9 헤마글루티닌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재조합 벡터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조합 바이러스 | 2019년 11월 4일 | ||
아토피성 피부염에 치료효과를 갖는 작은 간섭 RNA | 2009년 11월 20일 | ||
애기장대의 NIT2를 이용한 병감수성 및 저항성 형질전환 식물체 | 2012년 9월 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