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DNA-감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효소적 연료전지 및 그제조방법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09년 2월 24일 |
공개일 | 2010년 9월 2일 | 공고일 | 2011년 10월 26일 |
요약 |
본 발명은 DNA-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효소적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DNA-감긴 탄소나노튜브 및 이와 결합된 산화반응용 효소 또는 환원반응용 효소를 고정화시킨 효소적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이용한 효소적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NA-감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조하고 이를 효소적 연료전지에 적용시키는 경우, 효소적 연료전지에 사용된 효소의 활성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DNA-감긴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지 않은 기존의 효소적 연료전지 보다 높은 파워덴시티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안정된 파워덴시티를 나타낼 수 있다. DNA, 탄소나노튜브, 포도당 산화효소, 라케이즈, 효소적 연료전지
|
특허명 | 출원일 | ||
---|---|---|---|
DNA-감긴 탄소나노튜브가 흡착된 연료전지용 전극에 효소를 고정화하는 방법 | 2009년 6월 1일 | ||
탄소나노튜브 센서의 제작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 센서를 이용한 식용 유지의 상태 측정 방법 | 2011년 8월 10일 | ||
미세조류 슬러지로부터 생산된 바이오차를 이용한 전자전달물질의 제조방법 | 2018년 5월 18일 | ||
플렉시블 투명전극 제조 방법 | 2007년 10월 15일 | ||
효소 연료전지용 전극에의 효소 고정화 방법 | 2007년 11월 1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