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과제관련 영역 추정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8년 7월 6일 |
공개일 | 2020년 1월 15일 | 공고일 | 2020년 4월 2일 |
요약 |
본 발명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설이나 사전정보 없이 영상 획득 시 수행하는 과제와 관련된 뇌영역들을 추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과제관련 영역 추정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피험자의 과제 수행에 따른 fMRI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제1 독립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전체 뇌의 제1 독립성분들을 추출하는 단계; 전체 뇌에 대하여 추출된 제1 독립성분들 중 DMN과 관련된 독립성분들을 선정하여 통합하는 단계; DMN과 관련된 독립성분들에 대하여 제2 독립성분분석을 수행하여 DMN 내에서의 제2 독립성분들을 추출하는 단계; 피험자의 DTI 데이터를 이용하여 뇌 기능이 활성화된 영역의 확률기반 구조적 연결성을 추정하는 단계; 및 DMN 내에서 추출된 제2 독립성분들과 전체 뇌에서 추출된 제1 독립성분들 간의 역 상관관계 및 상기 확률기반 구조적 연결성을 기초로 과제 패러다임(Task paradigm)과 관련이 있는 뇌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특허명 | 출원일 | ||
---|---|---|---|
단일 영상을 기반으로 한 인버스 톤 매핑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 2018년 11월 30일 | ||
개인별 고유 인지 주파수 동조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 2018년 2월 26일 | ||
병렬 특징 피라미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영상 내 잡음 제거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 2019년 12월 26일 | ||
BMI용 EEG 최소 전극 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 2018년 7월 16일 | ||
MRI및 fMRI를 이용한 뇌 질환 분석 장치 및 방법 | 2011년 10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