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스마트 태양광 흡수-반사 장치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과학기술원 | 출원일 | 2018년 4월 11일 |
공개일 | 2019년 10월 21일 | 공고일 | 2019년 10월 25일 |
요약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재 층(110); 및 상기 기재 층(110) 상에 형성되는 흡수-반사 층(120);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반사 층(120)은, 복수 개의 제1유전체 판(121-a) 및 이들의 측면을 둘러싸는 상전이 물질(121-b)을 포함하는 단위체(121); 및 상기 단위체(121)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유전체(122);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121)는, 상기 상전이 물질(121-b)의 전이온도 이상에서는 10 내지 1000㎚ 영역의 태양광을 반사하고 8 내지 12 ㎛ 영역의 태양광은 흡수 및 방사하며, 상기 상전이 물질(121-b)의 전이온도 미만에서는 10 내지 1000㎚ 영역의 태양광을 흡수하고 8 내지 12 ㎛ 영역의 태양광은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태양광 흡수-반사 장치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난방효과가 있고,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태양광 흡수를 억제하고 장파장의 적외선을 방사하여 냉방효과가 있으며, 이 과정이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효과가 있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유기발광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 2016년 12월 29일 | ||
인공 호흡시 의료진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2019년 3월 4일 | ||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2010년 7월 12일 | ||
칼라 필터 및 칼라필터를 구비한 유기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 2016년 12월 13일 | ||
유기발광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 2017년 1월 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