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인공지능망 기반 근전도 검사 분석 장치 및 방법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9년 1월 16일 |
공개일 | 2020년 7월 27일 | 공고일 | 2020년 10월 20일 |
요약 |
본 발명은 인공지능망 기반 근전도 검사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수 환자의 EMG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형태로 수집하고, 질환명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EMG 데이터로부터 간섭양상이 발생하지 않는 MUAP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MUAP 패턴의 시각적 변수와 청각적 변수를 산출하는 MUAP 분석부; 상기 MUAP 분석부를 통해 상기 데이스베이스에 저장된 EMG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제1 MUAP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제1 MUAP 분석 결과를 입력 조건으로 가지고 질환명을 출력 조건으로 가지는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 데이터 생성부; 상기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통해 인공 지능망에 MUAP 분석 결과와 질환명간 상관관계를 학습시키는 인공 지능망 학습부; 검사 대상자의 EMG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형태로 획득하는 근전도 검사부; 및 상기 MUAP 분석부를 통해 상기 검사 대상자의 EMG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 MUAP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인공 지능망을 통해 상기 제2 MUAP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질환명을 예측 및 통보하는 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
특허명 | 출원일 | ||
---|---|---|---|
휴지기 뇌파를 이용한 뇌전증 진단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2019년 2월 15일 | ||
신경망 및 캡스트럼 기법에 기반한 집중지수 산출 장치 및 방법 | 2018년 9월 13일 | ||
뇌 두께 정보에 기반한 뇌 수축질환 계층적 진단 장치 | 2019년 9월 3일 | ||
착용형 센서를 이용한 일주기 생체리듬의 비정상성 탐지 장치 및 방법 | 2016년 8월 11일 | ||
CT 영상 기반 부위별 대뇌 피질 수축율 예측 방법 및 장치 | 2019년 9월 5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