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데이터 통신용 송신기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1년 12월 14일 |
공개일 | 2013년 6월 25일 | 공고일 | 2014년 2월 5일 |
요약 |
본 발명은 채널을 모델링함에 의해 채널의 상황에 맞게 최적의 프리-엠퍼시스 정도를 결정하여 출력 드라이버의 프리-엠퍼시스를 수행하게 할 수 있고 디지털 지연 신호에 의해 지연 데이터의 지연값을 조절하여 시스템상의 잡음에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용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입력단과, 채널과 연결되는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들로 변환하는 직렬화기; 상기 직렬 데이터들을 1차적으로 프리-엠퍼시스하여 프리-엠퍼시스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프리-출력 드라이버; 상기 프리-엠퍼시스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출력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출력 드라이버; 상기 채널의 상황을 모사하여 상기 출력 드라이버의 프리-엠퍼시스에 적용되는 지연 데이터의 지연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프리-출력 컨트롤러; 및 상기 출력 드라이버와 상기 프리-출력 컨트롤러와 상기 프리-출력 컨트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연값에 따른 커패시턴스가 조절되는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드라이버는 상기 프리-엠퍼시스 데이터들을 상기 지연값에 의해 조절하여 2차적으로 프리-엠퍼시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용 송신기가 개시된다.
|
특허명 | 출원일 | ||
---|---|---|---|
프리엠퍼시스를 수행하는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출력 드라이버에서의 스큐 보정 방법 | 2012년 2월 29일 | ||
광 송수신기 | 2017년 4월 10일 | ||
방사선에 의한 신호 왜곡을 감지하는 장치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 2017년 6월 14일 | ||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연산량을 감소시키는 STDP 기반의 뉴로모픽 연산처리장치 | 2019년 3월 7일 | ||
송신 회로, 수신 회로 및 이들을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 2014년 5월 15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