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차량-인프라 통신에서 세션 연속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20년 3월 20일 |
공개일 | 2021년 6월 28일 | 공고일 | - |
요약 |
본 발명은 차량-인프라 통신에서 세션 연속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인프라 통신에서 세션 연속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인프라에 속하는 기지국과 IPSec ESP(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터널 모드를 통해 패킷을 송수신하는 차량에서 IP 주소가 변경되는지 판단하고, IP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과 기지국 간에 미리 설립된 IKE(Internet key Exchange)의 SA(Security Association)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임시 IP 주소, 임시 SPI(Sequence Parameter Index) 및 임시 SN(Sequece Number)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임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임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세션 연속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가 제공된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이동 통신 서비스의 패킷 데이터 용량 재판매 방법 및 장치 | 2015년 12월 30일 |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 및 노드 상태 제어 방법 | 2015년 2월 11일 | ||
차량 간 통신에서 혼잡을 제어하기 위한 주기적 메시지 전송 설정 방법 및 장치 | 2018년 4월 10일 | ||
차량 네트워크 침입 탐지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2019년 8월 29일 | ||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 최적의 CPU 주파수 예측 장치 | 2019년 12월 1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