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클로스트리디움 셀룰로보란스 유래의 키틴 분해 효소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20년 1월 15일 |
공개일 | 2021년 1월 19일 | 공고일 | 2021년 2월 22일 |
요약 |
본 발명은 신규의 키틴 분해 효소로서, 클로스트리디움 셀룰로보란스(Clostridium cellulovorans) 유래의 셀룰로좀을 구성하는 엑소-베타-엔-아세틸글루코사미니데이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틴 분해 효소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공에 의해 기존에 쉽게 원료로 이용되지 못한 키틴 관련 바이오매스의 이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으로 엔-아세틸-글루코사민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Clocel_3193는 세포벽 부착능 및 분해능을 갖는 바, 상기 Clocel_3193을 항진균용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열안정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엔도글루칸아제-디의 돌연변이체 및 그 제조방법 | 2009년 6월 5일 | ||
바이오 에탄올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벡터 및 그 형질 전환체 | 2009년 6월 5일 | ||
클로스트리디움 셀룰로보란스 유래 엔도글루카나제 Z의 열 안정성 변이체 | 2014년 4월 9일 | ||
엔도글루칸아제-이 또는 소형 셀룰로오스 결합단백질-에이 유전자가 도입된 재조합 벡터, 그 재조합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소형-셀룰로좀의 생산 방법 | 2009년 10월 23일 | ||
키메릭 베타-아가레이즈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그 형질전환체 및 그 응용 | 2011년 2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