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상호중복유전서열이 배제된 식중독 원인 미생물 탐지용 DNA 마이크로어레이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0년 4월 13일 |
공개일 | 2011년 10월 19일 | 공고일 | 2013년 4월 12일 |
요약 |
본 발명은 식중독 원인 미생물 탐지용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탐지하고자 하는 식중독 원인균의 게놈 DNA로부터 유래된 랜덤 DNA 프로브를 포함하나, 비교 식중독 미생물과 상호중복(cross-talk) 하이브리다이제이션(hybridization)을 일으킬 수 있는 DNA 프로브는 제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중독 원인균 탐지용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탐지하고자하는 식중독 원인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랜덤 프로브를 이용하여 식중독 원인 미생물 탐지용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중독 원인 미생물 탐지용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식중독 및 식품 부패 원인 미생물의 정확한 시퀀스 정보 없이도 식중독 원인 미생물을 탐지할 수 있으므로, 시퀀싱 정보를 확보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몇 개 일부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나타날 수 있는 교차(cross-talk) 반응에 의한 탐지 실패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식중독균들의 동시 진단은 지표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 검출보다 오염미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시하여 주기 때문에, 문제발생시보다 근원적인 해결책을 수립하여, 궁극적으로 국민보건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자기확인 기능성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독성 탐지용 딥스틱 바이오센서 | 2012년 11월 8일 |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및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돌연변이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와 프로브 및 이의 용도 | 2019년 10월 18일 | ||
지오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러스에 대한 살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 2017년 6월 30일 | ||
표적 생물 분자의 검출을 위한 미세 포자, 이를 이용한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 2017년 4월 21일 |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랜덤 지노믹 DNA 단편을 이용한 유전자 칩 | 2010년 11월 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