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전자파차폐 효율이 우수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09년 6월 26일 |
공개일 | 2011년 1월 3일 | 공고일 | 2012년 4월 13일 |
요약 |
본 발명은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 1고분자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초음파 처리하여 예비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복합체와 제 2고분자 수지를 압출기에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예비복합체의 제조단계에서 고분자 수지에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최종적으로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복합체에 포함되는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을 위하여 산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가지며, 탄소나노튜브의 높은 분산도로 인하여 전기전도도가 높고 전자파 차폐효과가 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방향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하는 고분자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므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공정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
특허명 | 출원일 | ||
---|---|---|---|
전자파 차폐용 페이스트 및 상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 2014년 4월 10일 | ||
금속산화물 나노 입자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금속산화물 나노 입자 박막, 이를 이용한 광전 소자 | 2019년 10월 1일 | ||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 2009년 3월 13일 | ||
탄소나노튜브 센서의 제작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 센서를 이용한 식용 유지의 상태 측정 방법 | 2011년 8월 10일 | ||
자동차용 고분자/전도성 하이브리드 필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2011년 3월 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