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기능향상을 위한 다학제 통합기능케어 시스템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17년 9월 13일 |
공개일 | 2019년 3월 21일 | 공고일 | 2020년 4월 23일 |
요약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잔존 기능을 확인하는 잔존 기능 확인부; 상기 잔존 기능에 기초하여 유형을 분류하는 유형 분류부; 상기 유형에 기초하여 각 유형에 따라 상이한 우선순위를 갖는 제1 문제 리스트를 복수의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문제 리스트 제공부; 상기 개별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문제 리스트의 항목별 우선순위를 상기 복수의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우선순위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는 우선순위 산출부; 상기 우선순위의 평균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문제 리스트를 재정렬한 제2 문제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제2 문제 리스트 제공부; 를 포함하는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기능향상을 위한 다학제 통합기능케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
특허명 | 출원일 | ||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이상징후관리를 위한 컴퓨터의사결정지원 방법 및 시스템 | 2012년 6월 7일 | ||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2020년 11월 2일 | ||
희귀질환 임상시험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2018년 11월 1일 |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협동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2015년 12월 17일 | ||
아밀로이드 양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치매 진행을 예측하여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 2018년 1월 1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