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명 | 아이트래커기기를 사용한 외국어 읽기 능숙도 측정 도구 | ||
출원인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일 | 2020년 5월 12일 |
공개일 | 2021년 5월 18일 | 공고일 | - |
요약 |
본 출원은 이러한 외국어 읽기 능력 평가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읽기 과정 중 인지적으로 처리되는 온라인 프로세싱(online processing)양상을 원어민의 안구 움직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개인의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출원은 아이트래커(Eye tracker)기기를 사용하여, 특정 외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이 인지 심리학의 읽기 과정 측정 과제인 무빙윈도우(Moving window)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의 안구 운동을 촬영한 제1 안구 운동 측정 데이터 및 특정 외국어 학습자가 상기 무빙윈도우(Moving window)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의 안구 운동을 촬영한 제2 안구운동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제1 안구운동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구 운동 기본 데이터인 제1 기본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안구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안구 운동 기본 데이터인 제2 기본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제1 기본데이터를 평균화하고, 상기 제1 기본데이터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의 값들 및 상기 제1 기본데이터에서 제2 임계값 이하의 값들을 배제하여 분산을 줄이며, 상기 제1 기본데이터와 상기 제2 기본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특정 외국어 학습자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
특허명 | 출원일 | ||
---|---|---|---|
기본 음성 주파수 대역 아래의 저주파 대역을 이용한 단말 간의 공존 판단 서버 및 그 판단 방법 | 2018년 11월 28일 | ||
인공지능을 이용한 암환자 예후인자 중요도 분석 및 치료계획 처방적 분석 시스템 | 2019년 8월 6일 | ||
인지 검사를 통한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 2019년 6월 14일 | ||
작업기억 폭 검사를 통한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 2019년 6월 14일 | ||
가상 fMRI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 2012년 6월 19일 |